
|
<<< 시대를 분별하라!!! >>>
또 무리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구름이 서쪽에서 이는 것을 보면 곧 말하기를
소니가가 오리라 하나니 과연 그러하고
남풍이 부는 것을 보면 말하기를 심히 더우리라 하나니 과연 그러하니라
외식하는 자여 너희가 천지의 기상은 분간할 줄 알면서
어찌 이 시대를 분간하지 못하느냐 ( 누가복음 12장 54~56 )
|
|
Q1: 하나님에게도 트렌드가 있나요?
A : 구약시대와 신약시대가 구분되듯이 '구속사'(Salvation history, German: Heilsgeschichte)는 시대적으로 다른 목적을 갖고 진행됩니다. 일반 역사가 연대기적으로 진행되는 것과는 달리 구속사는 '사건 중심'의 목적론적 역사로 진행됩니다. 그러므로 각 시대별 하나님의 사역과 나타나심은 어떤 특징과 차이를 지니게 됩니다. 이런 특성을 트렌드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Q2: '하나님의 트렌드'(Trend God)와 유행과는 어떻게 다른가요?
A :세상에서 말하는 트렌드는 어떤 기류나 흐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상 사람들이 해당 기류나 유행같은 흐름에 '동조'(conformity)되어 트렌드로 나타납니다. 트렌드는 이렇게 사람들을 움직이는 힘/영향력이 있습니다. 세상에서 잠시 잠깐 '스쳐지나가는 유행'이라는 표현을 하지만, 그 잠깐의 유행도 대다수에게 어떤 영향력을 끼칩니다. 이런 영향력이 많은 사람들에게 어떤 가치나 경험을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하나님의 트렌드'(Trend God)나 유행은 기능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차이가 있다면, 그 트렌드/유행의 영성적 가치가 가장 큰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Q3: '하나님의 트렌드'(Trend God)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 :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세상의 흐름 속에서 기독교 영성적 테마로 탐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 반대로 성경 묵상과 기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테마를 읽어내는 것입니다.
- "창조마을" Copyrights ⓒ ChangJ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Q1: 왜 '하나님의 트렌드'(Trend God)를 연구하나요?
A : 시대적 사명을 읽어내기 위함입니다. 19세기 그리스도인의 사명이 다르고 20세기 그리스도인의 사명이 다릅니다. 21세기는 확연히 다른 세상입니다. 이전 방식으로는 이 시대에서 사명을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지역교회(Local Church)나 선교지(Mission Area) 모두 하루가 다르게 도시화 되고 인터넷 환경으로 상황이 교차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21세기 정황에 적합한 사명과 그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함입니다.
Q2: '하나님의 트렌드'(Trend God)를 어떻게 연구하나요'?
A : 성경연구와 기독교 영성이 밑바탕이 됩니다. 동시에 일반 사상사적 연구와 문화사적 연구가 동반됩니다. 즉, 하나님의 구속사가 인간의 역사와 별개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 학문적 연구와 기독교 영성 연구가 때로는 교차적으로, 때로는 통섭적으로 진행됩니다.
Q3: 연구자료를 어디서 볼 수 있나요?
A : 2023년 부터 1년 단위 자료집을 발간할 예정입니다. '창조마을' 홈페이지(www.ChangJo.com)에서도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 "창조마을" Copyrights ⓒ ChangJ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Q1: 개인신앙에 어떤 도움이 되나요?
A : 개인신앙이 '나무'라면, '숲'을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즉, 개인신앙의 거시담론을 확인함으로써, 개인 신앙의 '영적여정'의 흐름을 확인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Q2: 성경을 읽는 데에 도움이 되나요?
A : 성경공부 그 자체 보다는 성경을 묵상하고 성찰하거나 일상 생활에 적용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컨대, 신약적 관점에서 구약을 이해할 때처럼, 성경을 현재의 시점에서 보다 폭넓은 시각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이는 단지, 현대적이라는 관점만이 아니라, 보다 성숙하고 깊이 있는 영성적 성찰을 의미합니다.
Q3: 은사나 사명과도 연관이 되나요?
A : 일반 신앙생활 뿐만 아니라, 교회 공동체 안에서의 은사를 통한 사역이나 대사회적 또는 선교사역에 있어서도 도움이 됩니다. 그 이유는 상황화(Contextualization)라는 신학적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 "창조마을" Copyrights ⓒ ChangJ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Q1: 목회자의 교회목회에 어떤 도움이 되나요?
A : 성도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으며, 시대의 흐름과 트렌드에 어울리는 설교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개교회의 상황은 다양하지만,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현대적 상황을 기독교 영성적 토대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통찰과 혜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Q2: 전도나 해외 선교에 도움이 되나요?
A : '하나님의 트렌드'(Trend God)는 하나님께서 우리 인간에게 다가오시고 당신의 구속사를 진행하시는 맥락에서 읽혀지는 것이므로, 이 시대적 언어와 접촉점을 가지고 전도나 선교에 임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하나님의 지혜와 통찰을 통하여 전도나 선교 방법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Q3: 목회 환경에서 연구자료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A : 예배시 설교를 통해서, 성경공부나 소모임 시간에 집중적으로 다룰 수도 있습니다. 즉, 자료집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이 가능하며, 기도제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창조마을" Copyrights ⓒ ChangJ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Q1: 현대선교환경에 어떤 도움이 되나요?
A : 특히, 현대선교는 '문화다양성' 환경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구체적인 자료와 주제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예컨대, 가정, 결혼, 생명윤리 등 민감한 주제들에 대한 통찰과 혜안을 얻을 수 있습니다.
Q2: 구체적인 선교방법론에 도움이 되나요?
A : 도시문화환경에 대한 연구가 토대다 되어 있으므로, 문화적 트렌드에 대한 이해와 적용점을 얻을 수 있으며, 제 주제가 곧 선교방법론의 아이디어 개념이나 모티프가 될 수 있습니다.
Q3: 하나님의 선교적 방향을 알 수 있나요?
A : 물론입니다. '하나님의 트렌드'(Trend God)가 곧 하나님의 구속사적 섭리와 직결되는 것이므로, 하나님의 선교적 방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창조마을" Copyrights ⓒ ChangJ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Q1: 도시문화와 어떻게 연관이 되나요?
A : 인류의 문화사적 맥락이 '도시문화'라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구속사 또한 인간의 '도시문화'를 배경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안에서 섭리하셨습니다. '하나님의 트렌드'(Trend God) 차원에서는 '도시문화'가 곧 하나님의 섭리 장소인 것입니다.
Q2: 다양한 도시문화와 어떻게 어울힐 수 있나요?
A : 도시문화의 다양성이 꼭 기독교 영성에 어울리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문화다양성 그 개념 자체가 기독교 영성적 측면과 잘 어울립니다. 다시 말해서, 다소 혼잡해진 문화다양성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트렌드'(Trend God)를 찾아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Q3: 21세기 도시문화를 설명하는 것과 어떻게 다른가요?
A : 일반 문화다양성이나 도시문화 맥락은 기독교 영성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트렌드'(Trend God)는 통섭적이고 학문적인 연구작업을 통해서 도시문화를 설명하고 뿐만 아니라, 그 영성적 의미를 도출해 자료화 합니다.
- "창조마을" Copyrights ⓒ ChangJ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